*자료실*/CT·MR방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신 규칙)

Everlenz 2007. 7. 7. 20:28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신 규칙)
1) 검사방법
제출영상
1. 제2조제2항에 의한 특수의료장비등록필증에 등록된 용도가 전신용인 경우 두부 영상, 척추 영상(경추, 요추 중 택1), 관절 영상 (슬관절, 견관절, 족관절 중 택1) 총 3개 영상
2. 제2조제2항에 의한 특수의료장비등록필증에 등록된 용도가 전용인 경우 해당 부위 영상. 다만, 관절전용인 경우는 슬관절, 견관절, 족관절 중 택2
점수계산
일반정보항목 점수(20점) + 영상정보항목 점수(80점) = 100점
합격기준
일반정보항목과 영상정보항목 점수가 각각 60/100 이상인 경우 합격으로 인정한다. 전신용 및 관절전용인 경우 제출된 영상이 모두 일반정보항목과 영상정보항목 점수가 각각 60/100 이상인 경우 합격으로 인정한다.

2) 두부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펄스 대열(Pulse sequences): 시상 T1강조영상, 축상 T2강조영상
2.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영상을 제출한다.
3. 조영증강을 하지 않은 영상을 제출한다.
4. 뇌 질환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일상적인 두부 영상을 제출한다.

일반정보 항목
항 목
평가 내용
점수표시
일반검사
표 지
1. 환자성명
2. 환자번호
3. 성별
4. 나이
5. 촬영날짜
6. 촬영 기관
각 1점
MR검사
표 지
1. 기기명칭
2. 자장세기
3. 영상두께
4. TR/TE/NEX
5. 조사야(FOV)
6. 격자수(matrix number)
각 1점
일반정보
1. scaler가 있다.
2. 방향표시가 있다.
3.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4. 위치확인영상 혹은 PACS 에서 scout localization 이 가능해야 한다
각 2점
(단, scaler항목은 1점)
현상조건의 적정성
제출된 사진에 노화 (황화) 현상이 없다(PACS의 경우는 점수를 받는다)
1점
영상 정보 항목
인 공 물
1.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
2. Aliasing 인공물이 없다.
3. Radiofrequency interference 인공물이 없다.
4. 그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였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
각 4점
포함범위

1. 축상 T2강조영상에서
(1) 두정부에서 두개골 기저부까지 포함된다.
(2) 두개골의 전후, 좌우 전체가 포함된다.
6점
2. 시상 T1강조영상에서
(1) 두정부에서 두개골 기저부까지 포함된다.
(2) 정중앙 영상이 포함되어야 한다.
5점
3. 축상 T2강조영상에서 양측 대뇌반구의 좌우대칭이 이루어져야 한다.
5점
영상대조도
1. 축상 T2강조영상에서 뇌회백질 구분이 가능하다.
2. 축상 T2강조영상상에서 기저핵의 세부구조가 구분된다.
3. 축상 T2강조영상에서 근위부 중대뇌동맥(M1)이 전장에 걸쳐 추적 가능하다.
4. 축상 T2강조영상에서 internal cerebral vein이 전장에 추적 가능하다.
5. 축상 T2강조영상에서 중뇌의 red nucleus와 substantial nigra가 구분된다.
6. 축상 T2강조영상에서 다섯 번째 뇌신경의 cisternal segment가 확인된다.
7. 축상 T2강조영상에서 연수의 olive의 돌출이 확인된다.
8. 시상 T1강조영상 안구의 중앙 준위에서 양측 소뇌의 뇌회백질 구분이 가능하다.
각 5점
절편두께와 격자크기의 적정성
1. 절편두께는 5mm 이하이고 절편간격은 2.5mm 이하이다.
2. 격자수(matrix number)는 256x256 이상이어야 한다.
각 4점

3) 요추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펄스 대열(pulse sequences):
- 시상 T1강조영상
- 시상 T2강조영상 또는 T2*강조영상
- 축상 T1강조영상, T2강조영상 중 1가지 이상
2.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영상을 제출한다.
3. 조영증강을 하지 않은 영상을 제출한다.
4. 디스크 질환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일상적인 요추 영상을 제출한다

일반정보 항목
항 목
평가 내용
점수표시
일반검사
표 지
1. 환자성명
2. 환자번호
3. 성별
4. 나이
5. 촬영날짜
6. 촬영기관
각1점
MR검사
표 지
1. 기기명칭
2. 자장세기
3. 영상두께
4.TR/TE/NEX/flip angle
5.조사야(FOV)
6.격자수(matrix number)
각 1점
일반정보
1. Scaler가 있다.
2. 좌우 구분 및 방향표시가 있다.
3.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3. 위치확인영상 혹은 PACS에서 scout localization이 가능해야 한다.
각 2점
(단, scaler항목은 1점)
현상조건의
적정성
제출된 사진에 노화 (황화) 현상이 없다(PACS의 경우는 점수를 받는다).
1점
영상 정보 항목
인 공 물
1.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
2. Aliasing 인공물이 없다.
3. Radiofrequency interference 인공물이 없다.
4.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였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
각 4점
포함범위
1. 시상 T1 및 T2강조영상에서 양측 신경공이 포함된다.
2. 시상 T1 및 T2강조영상에서 최소 흉추 및 천추 1개 이상을 포함한다.
3. 요추 최하위 3개 추간판에 대한 축상 영상이 있다.
4. 축상 영상에서 상하 종판이 포함된 추간판 준위가 3개 이상이다.
각 4점
영상대조도
1. 시상 T2강조영상에서 섬유륜와 수핵이 구분된다.
2. 시상 T1강조영상에서 신경공 내의 신경근이 보인다.
3. 축상 영상에서 추간판과 척추체 종판의 후면경계가 전장에 걸쳐 보인다.
4. 시상 T2강조영상에서 척수액과 척수 및 척수 신경총이 구분된다.
5. 축상 영상에서 척수액과 척수 또는 척수 신경총이 구분된다.
각 8점
절편두께의
적절성
1. 시상 영상의 절편두께 5 mm 이하이다.
2. 축상 영상의 절편두께 4 mm 이하이다.
3. 시상 영상의 절편간격 1.5 mm 이하이다.
4. 축상 영상의 절편간격 1 mm 이하이다.
각 2점

4) 슬관절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펄스 대열 (pulse sequences)
- 시상 프로톤강조영상, T2강조영상 중 1가지 이상
- 관상 프로톤강조영상, T2강조영상 중 1가지 이상
2.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영상을 제출한다.
3. 조영증강을 하지 않은 영상을 제출한다.
4. 슬내장증 (internal derangement of knee) 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한 일상적인 슬관절 영상을 제출한다.

일반정보 항목
항 목
평가 내용
점수표시
일반검사
표 지
1. 환자성명
2. 환자번호
3. 성별
4. 나이
5. 촬영날짜
6. 촬영기관
각 1점
MR검사
표 지
1. 기기명칭
2. 자장세기
3. 영상두께
4. TR/TE/NEX/flip angle
5. 조사야(FOV)
6. 격자수(matrix number)
각 1점
일반정보
1. scaler가 있다.
2. 좌우 구분 및 방향표시가 있다.
3.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4. 위치확인영상 혹은 PACS 에서 scout localization 이 가능해야 한다.
각 2점(단, scaler 항목은 1점)
현상조건의
적정성
제출된 사진에 노화 (황화) 현상이 없다. (PACS의 경우는 점수를 받는다)
1점
영상 정보 항목
인 공 물
1.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
2. Aliasing 인공물이 없다.
3. Radiofrequency interference 인공물이 없다.
4.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였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
각 4점
포함범위
1. 시상 영상에서 대퇴사두근건의 원위부와 경골결절을 포함한다.
2. 관상 영상에서 비골두와 내측측부인대를 포함한다.
3. 시상과 관상 영상에서 반월판연골의 전장이 포함된다
각 4점
영상대조도
1. 시상과 관상 영상에서 후방십자인대가 전장에 걸쳐 경계가 분명하다.
2. 시상과 관상 영상에서 반월판연골의 전장에 걸쳐 경계가 분명하다.
3. 시상과 관상 영상에서 전방십자인대가 전장에 걸쳐 경계가 분명하다.
4. 관상 영상에서 내측측부인대가 전장에 걸쳐 경계가 분명하다.
5. 관상 영상에서 외측측부인대가 전장에 걸쳐 경계가 분명하다.
각 8점
절편두께 및 조사야의
적정성
1. FOV는 16cm 이하이다
2. 시상 영상의 절편두께 4 mm 이하, 절편간격 1 mm 이하이다.
3. 관상 영상의 절편두께 4 mm 이하, 절편간격 1 mm 이하이다.
각 4점

5) 견관절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펄스 대열 (pulse sequences):
- 축상 프로톤강조영상 또는 T2강조영상
- 관상 프로톤강조영상 또는 T2강조영상
- 시상 T1강조영상 또는 T2강조영상
2. 관상 영상은 supraspinatus axis에 대해 평행하거나 glenoid fossa에 직각이어야 한다.
3. 시상 영상은 supraspinatus tendon 원위부에 대해 직각이어야 한다.
4. 관절 내 조영 영상(MR arthrography) 도 제출 가능하다.
5. Glenohumeral instability나 rotator cuff tear 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한 일상적인 견관절 영상을 제출한다.

일반정보 항목
항 목
평가 내용
점수표시
일반검사
표 지
1. 환자성명
2. 환자번호
3. 성별
4. 나이
5. 촬영날짜
6. 촬영기관
각 1점
MR검사
표 지
1. 기기명칭
2. 자장세기
3. 영상두께
4. TR/TE/NEX/flip angle
5. 조사야(FOV)
6. 격자수(matrix number)
각 1점
일반정보
1. scaler가 있다.
2. 좌우 구분 및 방향표시가 있다.
3.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4. 위치확인영상 혹은 PACS 에서 scout localization 이 가능해야 한다.
각 2점
(단, scaler 항목은 1점)
현상조건의
적정성
제출된 사진에 노화 (황화) 현상이 없다. (PACS의 경우는 점수를 받는다)
1점
영상 정보 항목
인 공 물
1.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
2. Aliasing 인공물이 없다.
3. Radiofrequency interference 인공물이 없다.
4.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였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
각 4점
포함범위
1. 축상 영상에서 상하로 acromioclavicular joint와 axillary recess 를 모두 포함한다.
2. 관상 영상에서 전후로 coracoid process와 scapular spine을 포함한다.
3. 시상 영상에서 내외로 상완골 대결절과 spinoglenoid notch를 모두 포함한다
각 4점
영상대조도
1. Labrum 의 윤곽이 보인다.
2. 관상 및 시상 영상에서 supraspinatus tendon의 전장이 보인다
3. 축상 및 시상 영상에서 infraspinatus tendon의 전장이 보인다.
4. 축상 및 시상 영상에서 subscapularis tendon의 전장이 보인다.
5. Biceps long head 의 관절 내 인대와 bicipital groove내의 인대가 보인다.
각 8점
절편두께 및
조사야의
적정성
1. 축상 영상의 절편두께 4 mm 이하, 절편간격 2 mm 이하이다.
2. 관상 영상의 절편두께 4 mm 이하, 절편간격 2 mm 이하이다.
3. 시상 영상의 절편두께 4 mm 이하, 절편간격 2 mm 이하이다.
4. FOV는 20 cm 이하이다
각 3점

6) 경추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펄스 대열 (pulse sequences):
- 시상 T1강조영상
- 시상 T2강조영상 또는 T2*강조영상
- 축상 T1강조영상, T2강조영상 중 1가지 이상
2.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영상을 제출한다.
3. 조영증강을 하지 않은 영상을 제출한다.
4. 디스크 질환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일상적인 경추 영상을 제출한다

일반정보 항목
항 목
평가 내용
점수표시
일반검사
표 지
1. 환자성명
2. 환자번호
3. 성별
4. 나이
5. 촬영날짜
6. 촬영기관
각 1점
MR검사
표 지
1. 기기명칭
2. 자장세기
3. 영상두께
4. TR/TE/NEX/flip angle
5. 조사야(FOV)
6. 격자수(matrix number)
각 1점
일반정보
1. scaler가 있다.
2. 좌우 구분 및 방향표시가 있다.
3.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4. 위치확인영상 혹은 PACS 에서 scout localization 이 가능해야 한다.
각 2점
(단, scaler 항목은 1점)
현상조건의
적정성
제출된 사진에 노화 (황화) 현상이 없다. (PACS의 경우는 점수를 받는다)
1점
영상 정보 항목
인 공 물
1.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
2. Aliasing 인공물이 없다.
3. Radiofrequency interference 인공물이 없다.
4.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였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
각 4점
포함범위
1. 시상 영상에서 양측 신경공이 포함된다.
2. 시상 영상에서 atlanto-occipital joint 와 1개 이상의 흉추를 포함한다.
3. 3개 이상의 경추 추간판에 대한 축상 영상이 있다.
4. 축상 영상에서 상하 종판이 포함된 추간판 준위가 3개 이상이다
각 4점
영상대조도
1. 시상 T2강조영상에서 섬유륜와 수핵이 구분된다.
2. 시상 또는 축상 영상에서 신경공 내의 신경근이 보인다.
3. 축상 영상에서 추간판과 척추체 종판의 후면경계가 전장에 걸쳐 보인다.
4. 시상 T2강조영상에서 척수액과 척수가 구분된다.
5. 축상 영상에서 척수액과 척수가 구분된다.
각 8점
절편두께 및
조사야의
적정성
시상 영상의 절편두께 4 mm 이하이다.
축상 영상의 절편두께 3 mm 이하이다.
시상 영상의 절편간격 1 mm 이하이다.
축상 영상의 절편간격 1 mm 이하이다.
각 2점

7) 족관절
제출영상의
선행조건
1. 펄스 대열 (pulse sequences)
-시상 프로톤강조영상 또는 T2강조영상
-관상 프로톤강조영상 또는 T2강조영상
-축상 프로톤강조영상 또는 T2강조영상
2.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운 영상을 제출한다.
3. 조영증강을 하지 않은 영상을 제출한다.
4. 관절내장증 (internal derangement of joint)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한 일상적인 족관절 영상을 제출한다.

일반정보 항목
항 목
 
점수표시
일반검사
표 지
1. 환자성명
2. 환자번호
3. 성별
4. 나이
5. 촬영날짜
6. 촬영기관
각 1점
MR검사
표 지
1. 기기명칭
2. 자장세기
3. 영상두께
4. TR/TE/NEX/flip angle
5. 조사야(FOV)
6. 격자수(matrix number)
각 1점
일반정보
1. scaler가 있다.
2. 좌우 구분 및 방향표시가 있다.
3. 영상의 배열이 적절하다.
4. 위치확인영상 혹은 PACS 에서 scout localization 이 가능해야 한다.
각 2점
(단, scaler 항목은 1점)
현상조건의
적정성
제출된 사진에 노화 (황화) 현상이 없다. (PACS의 경우는 점수를 받는다)
1점
영상 정보 항목
인 공 물
1.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이 없다.
2. Aliasing 인공물이 없다.
3. Radiofrequency interference 인공물이 없다.
4. 그 외 기기 자체에서 발생하였거나 검사자 조작으로 발생한 인공물이 없다
각 4점
포함범위
1. 시상영상에서 중족골저 (metatarsal base)와 아킬레스힘줄(Achiles tendon)이 포함된다.
2. 관상과 축상영상에서 경골내과와 외과가 포함된다.
3. 시상, 관상, 축상 영상에서 경골 원위부와 종골 바닥까지 포함된다
각 4점
영상대조도
<해당 인대나 건이 전장에 걸쳐 식별이 가능하다>
1. Posterior tibiotalar ligament
2. Tibiocalcaneal ligament
3.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4. Posterior talofibular ligament
5. Tibialis posterior tendon
6. Peroneus longus/brevis tendon
각 8점
(단, 5, 6번 항목은 각 4점)
절편두께 및
조사야의
적정성
1. 축상 영상의 절편두께 4 mm 이하, 절편간격 1.5 mm 이하이다.
2. 관상 영상의 절편두께 4 mm 이하, 절편간격 1.5 mm 이하이다.
3. 시상 영상의 절편두께 4 mm 이하, 절편간격 1.5 mm 이하이다.
4. FOV는 16 cm 이하이다
각 3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