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방사선 관련 단위
1 eV는 매우 적은 양이기 때문에 그 10
3.2 흡수선량 방사선이 물질과 상호 작용한 결과 그 물질의 단위질량에 흡수된 에너지를 흡수선량이라고 한다. 흡수선량을 방사선의 종류나 물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한다. 흡수선량의 단위로 그레이(gray, 기호; Gy)를 사용한다. 물질 1 kg에 1 J의 에너지를 방사선으로부터 흡수하였을 때 이것을 1 Gy라 한다. 과거에 사용하던 단위는 라드(rad)이며
3.3 등가선량 (인체의 단일 장기나 조직에 방사선을 받을 때 사용)
방사선가중치는 방사선의 종류와 에너지에 의한 영향의 정도가 각기 다르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만든 계수이다. 흡수선량의 단위로서 그레이(Gy)를 사용했을 때 등가선량의 단위를 시버트(기호; Sv)라 하며 과거에 사용하던 등가선량 단위인 rem(렘)과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고 있다.
3.4 유효선량 (방사선을 온몸에 받을 때 사용) 등가선량을 인체 전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환산하여 실용화한 양이다. 방사선의 인체에 대한 영향은 신체의 어느 부위에 방사선을 받았는가에 따라 다르다. 주 ; 단위를 본래 명칭으로 쓸 때에는 첫 글자를 소문자로 쓴다. 줄여 쓸 때에는 그 단위가 사람이름에서 유래한 것은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쓰고 그렇지 않은 것은 소문자로 쓴다. 예컨대 흡수선량의 단위를 gray나 Gy, 등가선량의 단위를 sievert나 Sv로 쓴다. 한 방사선을 전신에 골고루 맞은 경우와 어느 특정부위에만 집중적으로 맞은 경우에도 신체에 미치는 영향에는 큰 차이가 있다. 유효선량은 신체를 몇 개의 부위로 나누어서 각 부위에 받은 등가선량에다 조직가중계수를 곱한 것을 모두 합하여 얻을 수 있다 (그림 19). 단위는 등가선량과 마찬가지로 시버트(Sv)이다. 단위시간 당의 유효선량을 유효선량률이라고 하며 시버트/시간으로 나타낸다. 1 뢴트겐(1 R)의 감마선 또는 엑스선을 인체의 외부로부터 받았다고 하면 흡수선량으로는 거의 1 센티그레이(1 cGy)가 되며 전신에 받았다면 1 센티시버트(1 cSv)의 유효선량이 된다.
|
'*자료실* > 일반·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널리 이용하고 있는 인공방사선 (0) | 2007.07.05 |
---|---|
4. 방사선 과 인간 (0) | 2007.07.05 |
2. 방사선 과 물질 간의 상호작용 (0) | 2007.07.05 |
1. 방사선 과 방사성동위원소의 기초 (0) | 2007.07.05 |
혈관조영술이란? (0) | 200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