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품질관리 대상 장치의 기준
통상적으로 PACS의 운영 시, 영상의학과에는 판독용, 각 임상과에는 임상용 모니터를 설치하여 운영한다. 이중 임상용 모니터의 경우 일반적으로 전문용의 고성능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으며(현재 대부분의 병원은 고성능 모니터 사용함) 판독용 모니터의 경우 전문용 모니터 장비를 사용하게 된다.
환자의 진료에 있어서 의료영상의 화질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품질관리의 중요성도 주로 판독용 모니터에 강조된다. 따라서 본 권고안에서 품질관리의 주된 대상은 판독용 모니터에 국한하며 이는 의료기기로 등록된 장비를 일컫는다.
2. 판독용 모니터의 관리 기준의 원칙
관리 기준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가. 기존의 필름-판독대 시스템과 비교하여 진단용 모니터를 이용한 영상의학적 진단의 정확성이 저하
되어서는 안된다.
나. 기존의 필름-판독대 시스템과 비교하여 PACS를 이용한 업무의 기능성이 저하되어 진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어사는 안된다.
다. 기존의 필름-판독대 시스템과 비교하여 진단용 모니터를 이용하는 의사의 피로도가 증가하여사는
안된다.
3. 판독용 모니터 권장 최저 기준
가. 모니터 갱신주파수(Refresh rate) : 최저 70Hz 이상(LCD의 경우 60HZ 이상)이어야 한다.
나. 모니터 수 : 진단용 장비는 하나의 위크스테이션 당 최소 2개 이상의 진단용 모니터가 장비되어야
한다.
다. 공간해상도 : 최저 2M pixel (1200 X 1600)이상 (4M pixel 이상을 권장)이어야 한다.
1200 X 1600 해상도 패턴을 디스플레이하여 패턴의 어느 한 곳도 뭉게지면 안된다.
라. 백색 휘도 : 휘도는 백색화면 상태에서 화면의 중심부와 네 모서리에서 각각 측정한다.
이 5점에서 측정한 휘도중 가장 낮은 값이 60fL (200cd/㎡)를 넘어야 한다.
마. 휘도 균일도 : 네 모서리에서 측정한 휘도 값이 중심부의 값을 기준으로 70%를 넘어야 한다.
바. 흑색 휘도 : 흑색 화면 상태에서 다석 군데에서 측정한 휘도 중 가장 높은 값이 0.4fL (1.2cd/㎡)
이하 이어야 한다.
사. 공간 왜곡도 : 모니터 내의 가용한 화면 어는 곳에서도 직선 패턴의 영상이 직선에서 5mm 이상
벗어나면 안된다.
4. 판독요 모니터의 관리
1) 판독용 모니터는 매일 사용되는 장비이며 사용시간에 따라 화질의 열화가 진행된다.
2) 모니터의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관리가 필요하다.
가. 판독실의 밝기는 50Lux 이하로 유지하도록 한다.
나. 판독실의 실내온도는 25℃ 이하로 유지하도록 한다.
다. 워크스테이션의 화면 보호기 기능에서 "모니터 끄기"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라. 적어도 1주일에 1회는 모니터의 화면을 청소하도록 한다.(안경 세척용 천으로 닦음)
5. 판독용 모니터의 정기점검(보관항목)
1) 판독용 모니터는 정기적으로 검검하여 기준이하의 성능에 대하여 정비하여야 한다.
2) 용 패턴 (TG18-QC pattern, AAPM 또는 SMPTE pattern)을 이용한 모니터의 목측 정기점검과
휘도 측정기를 이용한 모니터의 정기점검은 3개월에 한번 시행한다.
'*자료실* > 일반·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 조영 검사란? (0) | 2007.07.07 |
---|---|
위장조영검사란? (0) | 2007.07.07 |
투시/조영술이란? (0) | 2007.07.05 |
방사선검사는 인체에 해로운가? (0) | 2007.07.05 |
6.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0) | 2007.07.05 |